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름철 유행 감염병 총정리: 식중독부터 백일해까지, 꼭 알아야 할 질병

by !#@$% 2025. 7. 5.

여름철은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인해 감염병이 활발히 전파되는 시기입니다. 식중독, 백일해, 눈병, 모기·진드기 감염병 등 여름철에 자주 발생하는 질병과 예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여름철_유행_감염병_총정리
여름철 유행 감염병 총정리

요약 정리

- 여름철 대표 감염병: 식중독, 백일해, 각결막염, 뎅기열 등
- 고온다습한 환경 + 야외 활동 증가로 감염 위험 증가
- 손씻기, 음식 위생, 모기·진드기 방지 등 생활 속 예방이 핵심
 

 


👉 아래 항목별 설명과 함께, 지금 할 수 있는 예방 행동을 확인해보세요.
 

 

 

1.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여름철에는 음식물이 쉽게 부패하기 때문에 식중독이나 장염 발생이 급증합니다. 익히지 않은 해산물, 상온 방치된 음식, 불결한 조리 환경이 주된 원인입니다.

  • 장염비브리오균: 어패류 섭취 후 복통, 설사
  • 살모넬라균: 육류·달걀 감염, 고열과 구토
  • A형 간염: 위생 불량 음식으로 발열·황달 유발

 

 

2. 호흡기 감염병

여름철에는 냉방기기 사용과 실내 밀폐 환경으로 인해 호흡기 감염병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 백일해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백일해: 수주 간 지속되는 발작성 기침, 구토, 청색증
  • 여름 감기: 에코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인후통, 고열
  • 레지오넬라증: 냉각탑·에어컨의 세균 감염으로 발생, 발열·기침·호흡곤란

 

 

3. 곤충 매개 감염병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여름철에는 모기와 진드기에 의한 감염병 위험이 커집니다. 기피제, 모기장, 긴소매 옷 등이 중요한 예방법입니다.

  • SFTS: 진드기 매개, 고열·구토·혈소판 감소
  • 말라리아: 반복되는 발열·오한, 국내 일부 지역 존재
  • 뎅기열: 해외 유입 위험, 고열·근육통·피부 발진

 

 

4. 접촉성 감염병

수영장, 찜질방 등 공동시설 사용이 늘며 접촉성 질환도 증가합니다. 수건, 세면도구 등을 개인별로 구분 사용해야 전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유행성 각결막염: 눈 충혈, 통증, 분비물, 전염성 매우 높음
  • 피부염·땀띠: 땀과 세균 접촉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 특히 소아에서 빈번

 

 

5. 감염병 요약 표

구분 대표 감염병 주요 증상 전파 경로 예방 방법
식품/물 장염비브리오
살모넬라
A형간염
복통, 설사, 구토, 발열 오염된 식수·음식 익혀먹기, 손씻기, 음식 위생
호흡기 백일해
여름 감기
레지오넬라증
기침, 발열, 호흡곤란 비말감염, 냉방기기 환기, 예방접종, 청결 유지
곤충 매개 SFTS
말라리아
뎅기열
고열, 근육통, 발진 모기·진드기 물림 기피제, 야외 복장, 방충망
접촉성 결막염
피부염·땀띠
충혈, 가려움, 염증 수영장, 수건 등 접촉 개인 위생, 수건 구분

 

 

6. 예방 행동 & 정보 확인

여름철 감염병은 대부분 생활 습관 개선과 위생 관리만으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지금 내 환경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아래 정보를 함께 확인해 보세요.

예방접종내역_조회

 

 

 

 

특히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나 해외여행을 앞둔 분은 예방접종 확인과 보건소 상담을 꼭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유의사항

여름철은 감염병 위험이 높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러나 손씻기, 음식 위생, 모기·진드기 회피 등 기본 수칙만 지켜도 대부분의 감염병은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오늘 확인한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한 여름 보내시기 바랍니다.